'한겨레출판'에 해당되는 글 1건

  1. 너구리 한 봉에 다시마 두 장 1

 

거짓말이라고 생각했다. 내게 그런 행운은 단 한번도 없었기 때문이다. 다시마가 두 장 들어있는 너구리 라면이라니. 오동통 면을 후루룩한 다음 빨간 국물을 들이키기 전 집어먹곤 하는 그 다시마가 두 장이라는 건 꽤 기발한 상상이었다. 물론 그러지 말란 법도 없지만 그래도 너구리 한 봉에 다시마 두 장을 먹었다는 사람이 이렇게 많은 건 말이 안 된다고 봤다. 술자리 농담으론 꽤 괜찮지만, 대기업 농심을 바보로 아나......

하지만 너구리 한 봉에 다시마 두 장은 충분히 가능했다. 왜냐면, 사정은 대략 이러하다. 너구리 라면 공장 컨베이어벨트가 달린다. 동그란 모양의 꼬불꼬불 면발 덩어리가 그 위에 줄을 선다. 벨트 끝에서 이 덩어리는 떨어져 새빨간 포장지 속으로 쏙 들어가겠지. 그 전에 아마 어느 지점에선가 스프 한 봉, 다시마 한 장이 면발 위로 툭 떨어져 나란히 포장되겠지, 라고 생각했는데, 웬걸. 흰 머릿수건을 쓴 노동자가 다시마를 일일이 손으로 쪼개 넣는다. 이런, 믿기 힘든 전근대적인 광경.

‘너구리 한 봉, 다시마 한 장’의 믿음은 현대 자본주의 대량생산 체제를 너무 과신한 데서 비롯됐다. 기계화 역시 흰 머릿수건 아줌마(그냥 떠오르는 성차별적 이미지를 그대로 갖다 쓴다)를 대체할 수 없다고 농심은 설명한다. 이 아줌마의 실수가 ‘너구리 한 봉, 다시마 두 장’을 만들어낸다. 이건 불량품이다. 다만 불량품인데, 소비자는 기분이 전혀 나쁘지 않은 불량품이다. 어떤 소비자는 이 불량품을 '로또'라 부른다. 이 불량품의 피해자는 소비자가 아니다. 대기업 농심이 손해를 본다. 그 조그만 다시마 한 장 가격이 얼마나 되겠느냐만.

음, 그리고보면 이 기분 좋은 불량품을 계속, 또 자주 보기 위해선 ‘노동의 종말’ 따윈 없어야 할 텐데. 허나 언젠가 리프킨의 예언은 실행될테고, 우리의 다시마엔 보다 평등한 날이 오겠지. ‘너구리 한 봉, 다시마 두 장’ 같은 소소한 즐거움이 사라지는 게 진보라면, 나는 진보를 거부할 것인가. 겨우 다시마 두 장 따위에 '사람 사는 세상' 같은 구호가 곁들여 있었단 말인가. 결국 사람이 하는 일이다, 라는 진부한 말이 하고 싶어진다. 아직 그런 공장이 있다.

...... 나의 비좁은 자취방 찬장엔 너구리 네 마리. 오늘따라 흰 머릿수건 아줌마가 손짓하네, 너구리 한 마리 몰고 가세요.

 

>>> 아래는 한겨레출판 보도자료

 

이 책은 제지 공장부터 콘돔, 간장, 가방, 도자기, 엘피, 맥주, 그리고 김중혁 글 공장까지 호기심이 가득한 소설가 김중혁이 다양한 공장들을 다니면서 적어 내려간 시간과 기억, 속도와 사람에 대한, 느긋하고 수다스러운 글과 그림을 엮은 산문집이다. 15개의 공장 산책기와 더불어 노트 탐험기, 번뜩이는 가방 디자인 하기, 맥주 만취 시음기 등 작가의 재기 넘치는 토크(talk)와 인공 눈물, 글로벌 작가, 안경, 보온병, 시간표 등 사물을 담은 그림 등도 엿볼 수 있다.

그는 프롤로그에서 ‘내가 좋아하는 물건들이 공장에서 어떻게 생산되는지 훔쳐보고 싶은 마음에, 물건을 만든 장소에 가서 만드는 모습을 보면 물건을 좀 더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싶’어서 공장 산책기를 시작했다고 밝힌다. 소리와 도시, 기기 같은 사물들을 아날로그 감성과 함께 깊이 있게 만들어내는 그의 글들이 어떤 기계의 발명과 비슷해 보이기에 ‘발명가’라는 별명이 붙기도 한 김중혁. 그는 실제로 공장을 다니면서 공장에는 사람이 있고, 결국 사람이 하는 일이고, 사람이 만들어내는 일이라는 것을 알게 되고, 우리가 생각하는 공장의 모습은 훨씬 더 입체적이고 복잡할 것이라는 것도 깨닫는다.

소설가 김중혁은 고민한다. “왜 나는 손에 잡히는 무엇인가를 누군가에게 줄 수 없는 것일까. 외투를 만들거나 가방을 만들어서 직접적으로 제공할 수 없는 걸까.” 그는 소설가가 되고 난 후에도 그런 고민을 자주 했다. “내 소설은 어떤 ‘물건’이고, 어떤 ‘제품’일까. 나는 누군가에게 무엇을 줄 수 있을까.” 그리고 엄청난 소음으로 꽉 차 있고, 묘한 냄새가 떠다니며, 기계들이 쉴 새 없이 움직이고 있는 공장이, 만들어지고 만들어지고 또 만들어지고 있는 공장이 부러웠던 때가 있었다. 소음이 리드미컬하게 들리고, 화약약품이 향기롭게 느껴질 만큼.

지금은 나름대로 답이 생겨 소설이 어째서 필요한지, 글이 왜 중요한지도 어렴풋하게 알 것 같다고 한다. 어떤 방식으로든 우리는 비슷하게 살아가고, 연결되고, 서로가 서로를 돕고, 서로의 부분을 생산하고, 나라는 존재는 수많은 사람들의 생산으로 만들어진 조립품 같은 것이라고. 그래서 우리는 지구라는 거대한 공장에서 서로를 조립하고 있는 중이라고.

 

 

제8호 태풍 '너구리' 북상, 농작물 피해 당부

'되는대로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리끄덩이'를 붙잡는 집단기억  (0) 2014.04.11
어느 기업 대학 잔혹사  (0) 2014.04.06
수렵채집으로 돌아가라?  (0) 2014.03.27